
겨울철 건강 지키기: 한파와 한랭질환 예방 가이드

겨울철 갑작스러운 한파는 우리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한랭질환의 예방과 적절한 조치를 통해 건강한 겨울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한파와 한랭질환이란?

한랭질환은 저체온증, 동상, 동창 등 추위로 인해 신체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는 질환을 말합니다.
- 최근 5년간(‘19~‘23년) 1,883명의 한랭질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42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2. 주요 한랭질환과 위험군

저체온증
- 정의: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지며 신체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
- 위험군:
- 노인, 노숙인, 등산객
- 음주나 약물 중독 상태
- 적절한 보온을 하지 못한 아기
동상
- 정의: 피부와 조직이 동결되어 손상되는 질환.
- 위험군:
-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사람
- 적절한 방한용품(장갑, 양말, 신발 등)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3. 한랭질환에 취약한 기저질환자

-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
- 주의사항:
- 추위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지 않기.
- 무리한 신체활동 피하기.
- 혈압 상승 및 증상 악화 가능성에 대비.
4. 음주와 한랭질환의 관계

- 음주는 신체 온도를 일시적으로 높이지만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 음주와 한랭질환 통계:
- 2023~2024년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21.3%의 환자가 음주 상태로 내원.
5. 한랭질환 응급 대처 요령

- 추운 날 쓰러진 사람 발견 시:
- 신속히 따뜻한 곳으로 옮기고 병원으로 데려감.
- 의식이 없는 경우 119 신고 후 응급조치.
- 주의:
-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음료를 주는 것은 위험.
6. 한랭질환 예방수칙

생활습관
- 가벼운 실내운동과 충분한 수분 섭취.
- 영양분이 풍부한 균형 잡힌 식사.
실내환경
- 실내 온도를 18~22도, 습도를 **40~60%**로 유지.
외출 전
- 체감온도를 확인하고 야외활동을 자제.
외출 시
- 따뜻한 옷: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 착용.
- 무리한 신체활동 금지: 과도한 활동은 저체온증 위험 증가.
7. 한랭질환 예방, 이렇게 실천하세요!

한파가 예보되면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전에 예방법을 숙지하고 적절히 조치를 취한다면 한랭질환으로부터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
따뜻한 겨울나기, 한랭질환 예방수칙과 함께하세요!
출처:질병관리청 홈페이지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항생제 사용: 왜 중요할까요? (1) | 2024.11.22 |
---|---|
전 공무원은 감염병 의무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감염병예방법 일부개정안 시행(24.09.15) (0) | 2024.11.22 |
술(알코올), 어떻게 할 것인가? (2) | 2024.11.22 |
부모님 효도 팁: 건강 관리해 드리기 (1) | 2024.11.22 |
반복되는 입술 물집, 단순포진 해결 가이드 (5)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