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당뇨병과 합병증, 알고 관리하면 걱정 없어요!

mypresent2 2024. 11. 22. 11:09

세계 당뇨병의 날

매년 11월 14일, 전 세계가 당뇨병의 심각성을 알리고 예방과 관리를 촉진하기 위해 세계 당뇨병의 날을 기념합니다.
전 세계 성인의 약 **10%**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30세 이상 성인의 약 14.8%**가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것으로 보고됩니다.


당뇨병이란 무엇인가요?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혈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입니다. 탄수화물이 소화되며 생성된 포도당이 인슐린의 작용을 통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만, 인슐린 부족이나 작동 이상으로 인해 혈액 속에 축적됩니다. 결국, 소변으로 배출되며 다뇨(소변 증가), 다음(갈증), 다식(과식)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당뇨병의 원인과 위험 요인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결합되어 발생합니다.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증가.
  • 환경적 요인: 비만, 과식, 운동 부족, 스트레스, 노화 등이 주요 원인.
  • 특정 약물, 호르몬 이상도 발병에 영향을 미칩니다.

당뇨병의 합병증: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어요

1. 급성 합병증

  • 저혈당: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상태.
    • 원인: 약물 과다 복용, 불규칙한 식사, 과도한 운동 등.
    • 증상: 식은땀, 손떨림, 어지럼증, 의식 변화.
    • 대처법:
      • 혈당이 70mg/dL 미만이면 포도당(15~20g) 섭취 후 15분 뒤 재측정.
      • 의식이 없으면 즉시 병원으로 이송.

저혈당 응급식품

 

  • 당뇨병케토산증고혈당고삼투질상태:
    • 원인: 인슐린 중단, 감염, 약물 부작용 등.
    • 증상: 소변량 증가, 체중 감소, 탈수, 저혈압.
    • 치료: 체액 보충, 인슐린 투여, 전해질 불균형 교정.

2. 만성 합병증

  • 미세혈관 합병증
    • 당뇨병망막병증: 시력 저하, 복시, 섬광 증상.
    • 당뇨병신장병증: 단백뇨, 부종, 신부전 위험.
    • 당뇨병신경병증: 감각 저하, 상처 감염 위험 증가.
  • 대혈관 합병증
    • 심장, 뇌, 다리 혈관에 영향을 미쳐 주요 사망 원인이 됩니다.

당뇨병 예방과 관리: 5대 수칙

 

당뇨병 예방 5대 생활수칙

 

  1.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 유지
    • 체중과 허리둘레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적절한 식단과 운동으로 관리하세요.
  2. 규칙적인 운동
    • 주 3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꾸준히 운동하며 준비운동과 마무리 운동을 병행합니다.
  3. 균형 잡힌 식단
    • 기름진 음식 대신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생선, 채소, 과일을 섭취합니다.
    • 삶거나 굽는 요리 방법을 선택하세요.
  4. 좋은 생활습관 기르기
    • 7~8시간 적정 수면, 스트레스 관리, 금연과 절주를 실천하세요.
  5. 정기적인 검진
    • 혈당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국가검진을 통해 당뇨병 위험 요인을 점검하세요.

당뇨병 위험 요인을 확인하세요

다음과 같은 경우, 당뇨병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 과체중 또는 복부비만.
  • 가족 중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경우.
  • 임신당뇨병 또는 거대아 출산 경험.
  •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심뇌혈관질환 병력.

꾸준한 관리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세요

당뇨병은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를 통해 충분히 잘 조절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식단 조절, 운동, 금연과 같은 생활습관 개선은 혈당 관리는 물론 합병증 예방에도 필수적입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전문적인 치료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이어가세요.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듭니다.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