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지카바이러스 예방,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mypresent2 2024. 11. 28. 17:39

지카바이러스 예방 가이드: 건강한 여행을 위한 필수 정보

지카바이러스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매개모기를 통해 전염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특히 임신부와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철저한 예방이 필요합니다. 지카바이러스의 전염 경로, 증상, 예방방법 등을 알아보며 안전한 여행을 준비하세요!


지카바이러스란?

  • 감염 경로:
    •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Aedes aegypti)**에 물리면 전염됩니다.
    • 성접촉, 수혈, 또는 산모에서 태아로의 수직감염도 가능합니다.
  • 주요 증상:
    • 피부 발진이 대표적이며, 관절통, 근육통, 결막염, 발열, 두통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감염자의 80%는 무증상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감염 여부를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치료 및 백신:
    • 현재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백신과 치료제는 없습니다. 예방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지카바이러스 예방 방법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다음의 예방 수칙을 실천하세요.

  1. 모기 물림 방지
    • 긴팔과 긴바지 착용: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세요.
    • 모기 기피제 사용: 모기에 효과적인 DEET 성분의 기피제를 사용하세요.
    • 방충망과 모기장 활용: 실내에서도 모기 접근을 차단하세요.
  2. 여행 중 행동 요령
    • 모기의 활동이 활발한 새벽과 해질녘에는 야외 활동을 피하세요.
    • 물이 고인 장소를 제거하여 모기 서식지를 없애세요.
  3. 헌혈 금지
    • 지카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는 치료 후 6개월 동안 헌혈을 금지하여 바이러스 전파를 방지합니다.

여행 후 건강 관리

  • 건강 상태 관찰:
    여행 후 2주 동안 건강 상태를 주의 깊게 살피세요. 발진, 발열,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대처해야 합니다.
  • 상담 및 조치:
    감염이 의심될 경우 1339 콜센터로 전화하여 상담받고,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라 조치하세요.

지카바이러스와 임신부

지카바이러스는 임신부와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병입니다. 임신부가 감염될 경우 태아에게 바이러스가 전염되어 선천성 기형(소두증)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부는 유행지역 여행을 최대한 자제하고, 모기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지카바이러스 예방 체크리스트

✔ 외출 시 긴팔·긴바지 착용
✔ 방충망, 모기장, 모기 기피제 사용
✔ 모기 서식지 제거(고인 물 관리)
✔ 여행 후 2주간 건강 상태 관찰
✔ 증상 발생 시 1339 콜센터 상담


지카바이러스 예방은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건강을 지키는 시작입니다.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 건강하고 안전한 여행을 즐기세요!

 

 

출처: 질병관리청 홈페이지